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출산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출산율은 계속해서 하락하는 상황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며, 작년에는 출산율이 0.81명에 불과하여 매우 낮아진 상태였고, 더욱 감소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출산율 상승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로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며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2023 국민행복카드의 잔액조회, 신청 방법과 사용처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국민행복카드
국민행복카드는 정부가 제공하는 국가 바우처 서비스를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용카드 등 총 세 종류의 카드 형태가 있습니다.
다양한 바우처 지원을 이 카드 하나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 보조금을 활용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임신을 확인하고 산부인과에서 임신 사실을 확인받은 모든 분들이 발급 대상이 됩니다.
국민행복카드의 혜택은 뭐가 있을까?
5개의 카드사인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신한카드에서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의 신용카드별로 혜택이 다양하므로, 카드사의 혜택을 비교하여 신청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건강보험 임신 및 출산 진료비 지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신 1회당 100만 원 이용권 지원(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140만 원), 분만 취약지역은 20만 원 추가 지원
⊙지원 기간: 사용 시작일로부터 분만 예정일 이후 2년까지
⊙사용처: 임신 및 출산 요양기관(산부인과 등) 청소년 산모 임신 및 출산 의료비 지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 18세 이하의 임산부 대상 임신 1회당 120만 원 범위 내에서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임신 및 출산 관련 진료비 지원
⊙지원 기간: 사용 시작일로부터 분만 예정일 이후 2년까지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저귀 지원: 월 64,000원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월 150,000원
⊙지원 기간: 사용 시작일로부터 24개월까지
사용처
온라인 구매점(지마켓, 옥션, 우체국 쇼핑, 올 마이 쇼핑, 삼성카드, 먼슬리씽, 국민행복 몰, 페이 북쇼핑) 및 오프라인 구매점(나들가게, 이마트, 롯데마트, PK MARKET, 노브랜드, 홈플러스, GS25)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소득분위 및 태아수에 따라 45만 원부터 최대 162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첫 만남 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초 1회 200만 원의 바우처를 지원합니다.
· 지원 기간: 사용 시작일로부터 아동 출생일 이후 1년까지
· 사용처: 유흥업종, 사행업종, 마사지 등 위생업종, 레저업종, 성인용품 등 기타 업종과 면세점을 제외한 모든 업종(온라인 구매 포함)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간 최대 126,000원 지원
· 지원 기간: 최대 96개월(8년)로 대상별로 상이합니다.
에너지 바우처 지원
· 1인 가구: 86,000원
· 2인 가구: 120,000원
· 3인 가구 이상: 145,000원
아이 돌봄 서비스 지원
· 영아종일제 :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91만 원 지원
· 시간제 : 소득유형에 따라 1,625~4,875원 지원
사용 기간이 지나면 지원금은 자동으로 소멸되니, 기간 내에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카드사별로 바우처를 이용할 수 있는 판매점이 다르므로, 자세히 확인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신청방법 및 잔액조회
BC카드(1899-4651), 롯데카드(1899-4282), 삼성카드(1566-3336), KB국민카드(1599-7900), 신한카드(1577-8868) 중에서 한 곳을 선택하여 카드를 신청하시면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사별로 혜택이 다르므로, 혜택을 확인하신 후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카드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잔액조회
국민행복카드 잔액조회는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밑에 박스에 나온 바우처 잔액 조회를 클릭하시면 조회 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와 함께 많이 본 글
국민행복카드 잔액조회, 바우처등록, 신청방법과 함께 많이 본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및 발급방법 함께 많이 찾아보셨는데요.
참고하셔서 해당되신다면 연간 11만원 복지혜택 꼭 함께 누리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는 기획재정부에서 복권기금을 받아 수급자 및 차상위계에게 문화생활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혜택이 있
tido.todayheal.com
'정책,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희망적금 간단정리(NEW) (0) | 2023.04.19 |
---|---|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신청방법(총정리) (0) | 2023.04.19 |
스포츠 바우처 홈페이지 신청방법(총정리) (0) | 2023.04.18 |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0) | 2023.04.18 |
고향사랑 기부제 신청, 혜택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