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복지

청년희망적금 간단정리(NEW)

by 시도서래 2023. 4. 19.

많은 분들이 힘들어하고 계시죠? 요즘 물가 상승이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층이 힘들어하는데요.

그래서 오늘 서민금융원에서 진행하는 지난 2022년에 인기가 많았던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하실 만한 신청 자격청년 도약 계좌 비교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확인하시어 시간을 아끼시길 바랍니다.

Contents

1.청년희망적금 신청자격

2.만기금액

3.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4.함께보면 좋은 글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신청자격

청년희망적금의 신청자격

 

º신청자격: 나이(가입 연령): 만 19~34세 청년(병역 목 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º소득기준: 총 급여 3,600만원(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직전 연도 과세기간(21년 1월 ~ 12월)

º중위소득기준: 제한 없음

º예외사항: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나이가 만 19~34세이며,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인 청년들이 가입 대상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은행 이자율은 5%부터 시작하여, 은행별로 0.2%~1% 추가 우대금리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 1 ~ 2년 만기 시 이자별 만기 금액 2년간 납입했을 경우,

매월 납입 금액별 만기 금액(이자 포함)을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총 납입금액 / 금리 5% 6%
720만원(월 30만) 7,560,000원 7,632,000원
960만원(월 40만) 10,080,000원 10,176,000
1200(월 50만) 12,6000,000원 12,720,000원

 

2년 만기 시 이자별 만기 금액 2년간 납입했을 경우,

2년 만기 시 저축장려금 저축장려금은 정부 예산으로 지원되는 장려금으로,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급될 수 있으며, 정부 예산 범위 내에서 지급될 예정입니다.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금리 6% 가정) 총정리하면, 매월 50만원씩 납입하여 만기까지 적금을 넣었을 경우, 총 납입금액 1200만원 X 6% = 1272만원 + 저축장려금 36만원 = 1308만원을 받게 됩니다.


월 납입금 저축장려금 매월 30만원 납입 시 21만 6천원 

매월 40만원 납입 시 28만 8천원

매월 50만원 36만만원

*금리 : 1년 차 2%, 2년차 4%

청년희망적금

(금리 6%를 가정하에) 정리하면, 매월 50만원씩 납입하여 만기까지 적금을 들었을 경우, 총 납입금액 1200만원 X 6% = 1272만원 + 저축장려금 36만원 = 1308만원을 받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기간 2023년 6월 ~ 2025년 12월31일 2022년 2월 (현재 가입 X)
대상 만19~34세(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때 미산입
소득기준 개인소득 75,000,000원 이하
가구소득(중위소득 180%이하)
총급여액 3천6백만원 이하
종합소득 2천6백만원 이하
납입기간 5년 2년
매칭비율 납입금액의 3~6% 1년차 2% 2년차 4%
(최대 36만원)
정부기여금 월 최대 24,000원 / 144만원(5년) 만기 시 최대 36만원
금리 미정 은행별 5~6%
특별해지 페업,사망, 해외이주, 퇴직, 생애최초주택구입 등의 사유시 정부지원금, 비과세 혜택 가능 죄동(생애최초주택구입 사유 제외)

※기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적이 있는 고객은 청년도약계좌와 중복가입이 불가능하다고 하오니 참고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지금까지 청년희망적금 간단정리(NEW) 포스팅을 보셨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이제 더이상 가입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2023년 6월에 정식으로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청년희망적금보다 조건이 좋으니 꼭 한번 같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댓글